잭 마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잭 마셜은 1912년 뉴질랜드에서 태어나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정계에 입문했다. 1946년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후 여러 차례 장관직을 역임했으며, 1972년에는 뉴질랜드 총리가 되었다. 그는 자유주의와 보수주의를 혼합한 정치 철학을 가졌으며, 영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뉴질랜드의 이익을 보호하는 데 기여했다. 1972년 총선에서 패배한 후 야당 대표를 지냈으며, 1975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은퇴 후에도 저술 활동과 사회 활동을 이어갔으며, 1988년 헝가리에서 열린 연합성서공회 회의 참석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총리 - 저신다 아던
저신다 아던은 뉴질랜드의 제39대 총리로, 노동당 당수로서 2017년 총선 승리로 총리에 취임하여 아동 빈곤 감소, 기후변화 대응, 코로나19 팬데믹 대처 등에 주력하고 다자주의 외교를 추진했으며 2023년 총리직에서 사퇴했다. - 뉴질랜드의 총리 - 마이클 조지프 새비지
마이클 조지프 새비지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으로 뉴질랜드 노동당 창당에 기여하고 총리직에 올라 사회 보장 제도 도입, 방송 국영화 등 정책을 추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을 결정하고 뉴질랜드 복지 국가 설계자로 평가받았다. - 1988년 사망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 1988년 사망 - 숀 맥브라이드
숀 맥브라이드는 아일랜드 독립운동가, 정치인, 변호사, 인권 운동가로 활동하며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여하고, 클란 나 포블라흐타를 창당하여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국제앰네스티 공동 설립, 노벨 평화상 수상 등 인권 및 평화 운동에 기여했다. - 1912년 출생 - 이원수 (작가)
이원수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1926년 동시 〈고향의 봄〉으로 등단하여 동요, 동시, 동화, 소년소설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한국아동문학가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친일 작품으로 논란이 있다. - 1912년 출생 - 이병주 (1912년)
이병주(1912년)는 대구사범학교 졸업 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의학박사이자 정치인으로, 대한결핵협회 이사, 민주공화당 창당준비위원, 재단법인 성균관 이사장을 역임하고 제7·8·9대 국회의원 및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위원, 그리고 민주공화당 주요 직책과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을 지냈다.
잭 마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존 로스 마셜 |
출생일 | 1912년 3월 5일 |
출생지 | 뉴질랜드 웰링턴 |
사망일 | 1988년 8월 30일 |
사망지 | 잉글랜드 서퍽 주 스네이프 |
배우자 | 제시 마가렛 리빙스턴(1944년 결혼) |
자녀 | 4명 |
정당 | 뉴질랜드 국민당 |
모교 | 빅토리아 대학교 웰링턴 |
직업 | 변호사 |
군 복무 정보 |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충성 | 뉴질랜드 |
군종 | 뉴질랜드 군대 |
복무 기간 | 1941년–1945년 |
계급 | 중령 |
부대 | 36대대 사단 기병 대대 |
지휘 | 해당사항 없음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솔로몬 제도 전역 이탈리아 전역 |
정치 경력 | |
직위 | 뉴질랜드의 총리 |
대수 | 28대 |
임기 시작 | 1972년 2월 7일 |
임기 종료 | 1972년 12월 8일 |
부총리 | 로버트 멀둔 |
총독 | 포릿 경 데니스 블런델 경 |
이전 총리 | 키스 홀리오크 |
군주 | 엘리자베스 2세 |
다음 총리 | 노먼 커크 |
정당 대표 경력 | |
직위 | 뉴질랜드 국민당 대표 |
대수 | 4대 |
임기 시작 | 1972년 2월 7일 |
임기 종료 | 1974년 7월 9일 |
부대표 | 로버트 멀둔 |
이전 대표 | 키스 홀리오크 |
다음 대표 | 로버트 멀둔 |
장관 경력 | |
직위 | 해외 무역부 장관 |
대수 | 초대 |
임기 시작 | 1960년 12월 12일 |
임기 종료 | 1972년 2월 9일 |
총리 | 키스 홀리오크 |
이전 장관 | 해당사항 없음 |
다음 장관 | 브라이언 탤보이스 |
직위 | 부총리 |
대수 | 2대 |
임기 시작 | 1960년 12월 12일 |
임기 종료 | 1972년 2월 7일 |
총리 | 키스 홀리오크 |
이전 부총리 | 제리 스키너 |
다음 부총리 | 로버트 멀둔 |
임기 시작 | 1957년 9월 20일 |
임기 종료 | 1957년 12월 12일 |
총리 | 키스 홀리오크 |
이전 부총리 | 키스 홀리오크 |
다음 부총리 | 제리 스키너 |
직위 | 법무부 장관 |
대수 | 32대 |
임기 시작 | 1954년 11월 26일 |
임기 종료 | 1957년 12월 12일 |
총리 | 시드니 홀랜드 키스 홀리오크 |
이전 장관 | 클리프턴 웹 |
다음 장관 | 렉스 메이슨 |
직위 | 보건부 장관 |
대수 | 16대 |
임기 시작 | 1951년 9월 19일 |
임기 종료 | 1954년 11월 26일 |
총리 | 시드니 홀랜드 |
이전 장관 | 잭 와츠 |
다음 장관 | 랄프 헤넌 |
직위 | 통계청 장관 |
대수 | 7대 |
임기 시작 | 1949년 12월 13일 |
임기 종료 | 1951년 9월 19일 |
총리 | 시드니 홀랜드 |
이전 장관 | 월터 내시 |
다음 장관 | 잭 와츠 |
의회 의원 경력 | |
선거구 | 카로리 마운트 빅토리아(1946–1954) |
임기 시작 | 1946년 11월 27일 |
임기 종료 | 1975년 11월 29일 |
의회 | 뉴질랜드 |
이전 의원 | 선거구 신설 |
다음 의원 | 휴 템플턴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마셜은 웰링턴에서 태어났다. 그는 웰링턴, 팡가레이, 더니딘에서 자랐으며, 팡가레이 남자 고등학교와 오타고 남자 고등학교에 다녔다. 그는 특히 럭비를 포함한 스포츠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2]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마셜은 뉴질랜드 군대에 입대하여 장교 훈련을 받았다.[2] 복무 초기에는 제36연대에 배치되어 피지, 노퍽 섬, 누벨칼레도니, 솔로몬 제도 등 남태평양 전선에서 복무했다.[2] 이 기간 동안 미국 버지니아에 있는 해병 참모 학교에서 5개월간 연수를 받기도 했다.[2] 그의 최종 계급은 소령이었다.[2] 1944년 7월 29일, 서호주 퍼스에서 휴가를 보내던 중 간호사 제시 마가렛 리빙스턴과 결혼했다.[2] 1945년 초에는 사단 기병 대대로 소속을 옮겨 이탈리아 전선으로 파병되었으며, 세니오 강 전투와 트리에스테 해방 작전에 참여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잠시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1946년 뉴질랜드 총선에서 뉴질랜드 국민당 후보로 마운트 빅토리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마셜은 빅토리아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그는 1934년에 법학 학사 학위를, 1935년에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또한 법률 사무소에서 시간제 근무를 했다.[2] 그는 장로교 신자였고, 한때 뉴질랜드 성서공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3]
3.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4. 정치 경력
4. 1. 의회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후, 마셜은 잠시 변호사로 활동했지만, 곧 국민당의 후보로 나서게 되어 1946년 뉴질랜드 총선에서 웰링턴의 신설 선거구인 마운트 빅토리아에 출마했다. 그는 911표 차이로 이 선거구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그는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자격이 박탈될 뻔했는데, 당시 마셜은 정부를 위한 소송 사건에 고용되어 있었고, 이는 정치인이 자신의 회사에 사업을 주는 것을 금지하는 규칙에 위배될 수 있었다. 하지만 마셜이 선거 전에 이 사건을 맡았기 때문에 아무런 잘못이 없다는 것이 분명했고, 당시 노동당의 총리였던 피터 프레이저는 관련 규정을 수정했다.[2]
이 시기 마셜의 정치 철학은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가치를 혼합한 형태였다. 그는 자유방임주의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동시에, 사회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부의 재분배에도 반대했다. 그의 비전은 공정하고 정의로운 정부의 온화한 지도 아래 시민들이 재산을 소유하는 사회였다. 전기 작가 배리 구스타프슨은 "마셜은 그의 기독교 신앙과 자유주의 원칙에 대한 깊은 지적 헌신에 의해 강하게 동기 부여되었다"고 평가한다.[2]
마셜은 1946년부터 1975년까지 하원의원으로 활동했으며, 그의 선거 이력은 다음과 같다.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
1946년 선거 | 하원의원 (마운트 빅토리아 선거구) | 28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3.09% | 6,520표 | 당선 |
1949년 선거 | 하원의원 (마운트 빅토리아 선거구) | 29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8.44% | 6,562표 | 당선 |
1951년 선거 | 하원의원 (마운트 빅토리아 선거구) | 30대 | 뉴질랜드 국민당 | 60.06% | 6,556표 | 당선 |
1954년 선거 | 하원의원 (카로리 선거구) | 31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3.30% | 8,317표 | 당선 |
1957년 선거 | 하원의원 (카로리 선거구) | 32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7.35% | 9,481표 | 당선 |
1960년 선거 | 하원의원 (카로리 선거구) | 33대 | 뉴질랜드 국민당 | 61.99% | 9,841표 | 당선 |
1963년 선거 | 하원의원 (카로리 선거구) | 34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9.67% | 10,312표 | 당선 |
1966년 선거 | 하원의원 (카로리 선거구) | 35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9.40% | 10,961표 | 당선 |
1969년 선거 | 하원의원 (카로리 선거구) | 36대 | 뉴질랜드 국민당 | 65.65% | 11,320표 | 당선 |
1972년 선거 | 하원의원 (카로리 선거구) | 37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5.80% | 9,825표 | 당선 |
4. 2. 내각 활동
1949년 뉴질랜드 총선에서 마셜은 자신의 의석을 지켰고, 뉴질랜드 국민당은 해당 총선에서 승리하여 정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시드니 홀랜드 총리 내각에서 마셜은 통계청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국영 국고 채권 공사에 대한 책임도 맡았다. 그는 또한 홀랜드 총리의 직접적인 보좌관 역할을 수행했다.[2]
1951년 뉴질랜드 총선 이후에는 보건부 장관이 되었고, 1953년까지 국영 국고 채권 공사 책임 장관직을 겸임했다. 1954년 뉴질랜드 총선에서는 기존의 마운트 빅토리아 선거구가 폐지되면서, 그는 웰링턴의 다른 선거구인 카로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선거 후 마셜은 보건부 장관직을 내려놓고 법무부 장관과 법무장관을 맡았다. 이 시기 그는 살인죄에 대한 사형제 유지를 지지했으며, 1957년에는 사형 존폐를 묻는 국민투표를 제안하기도 했다.[4] (뉴질랜드의 마지막 사형 집행은 마셜이 법무장관으로 재임하던 1957년에 이루어졌다.[4]) 그는 또한 별도의 상고 법원 설립을 지지했다.[2]
홀랜드 총리의 건강이 악화되자, 마셜은 그에게 사임을 설득한 그룹의 일원이었다. 이후 키스 홀요크가 새로운 총리가 되었다. 마셜은 부대표 자리를 놓고 잭 와츠와 경쟁하여 승리했다.[2] 다만 이 경선 결과는 당원 총회에 비밀로 부쳐졌으며, 일부 내각 장관들은 실제로는 와츠가 이겼으나 홀요크가 와츠의 건강 문제를 이유로 결과를 뒤집었다고 추측하기도 했다.
1957년 뉴질랜드 총선에서 국민당은 뉴질랜드 노동당의 월터 내시에게 패배했고, 마셜은 야당의 부대표가 되었다. 내시 정부는 경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시행한 극단적인 긴축 재정 정책이 국민적 반발을 사면서 오래 유지되지 못했다. 마셜은 훗날 이 경제 위기가 이전 국민당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에서 일부 비롯되었음을 인정했다.[2] 1960년 뉴질랜드 총선에서 노동당은 패배했고, 국민당이 다시 집권했다.[5]

다시 부총리가 된 마셜은 법무 관련 직책 대신 산업통상부 장관, 해외 무역부 장관, 이민부 장관, 관세부 장관 등 여러 경제 부처 장관직을 맡았다.[2] 그의 주요 업적 중 하나는 호주 및 영국과의 무역 협정을 성공적으로 체결한 것이다. 마셜은 국민당의 선거 공약이었던 노동조합 의무 가입 폐지를 지지했지만, 정부가 이 정책을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일부 동료들과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2]
마셜은 여전히 살인죄에 대한 사형제 유지를 주장했다.[4] 그러나 아놀드 노르드마이어가 이끄는 노동당은 사형제 폐지를 당론으로 채택했고, 1961년에는 로버트 멀둔을 포함한 국민당 의원 10명이 당론을 거부하고 노동당과 함께 투표하여 사형제가 폐지되었다.[6]
시간이 흐르면서 마셜의 업무 부담이 커지자 홀리오크 총리는 그에게 더 많은 내각 책임을 부여했다. 1960년대에 그는 영국이 유럽 경제 공동체(EEC)에 가입할 경우 예상되는 무역 문제에 대한 협상을 주도했다.[2][7] 그의 정중하고 온화한 성격은 외교 및 무역 협상에서 강점으로 작용했다. 특히 영국이 EEC에 가입한 후에도 뉴질랜드 농산물의 유럽 시장 접근성을 유지하도록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끈 것은 그의 주요 업적으로 평가받는다.[3] 마셜은 당시 지속되던 노동 분쟁 해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이 과정에서 재무부 장관 로버트 멀둔과의 관계는 매우 긴장되었다. 마셜은 멀둔이 노동 협상에 공개적으로 개입하는 것에 불만을 품었다. 마셜은 사고 보상 공사(ACC) 설립 책임자이기도 했다.[7]
4. 3. 총리 재임 (1972)
1972년 2월 7일, 키스 홀리오크는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마셜은 멀둔을 상대로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하여 승리했고, 로버트 멀둔은 부총리가 되었다. 마셜은 뉴질랜드 국민당 정부가 침체되고 융통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정부 개혁을 추진하고자 했으나, 오랜 기간 집권한 국민당 정부에 대한 대중의 피로감이 있었고 개혁은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결국 1972년 뉴질랜드 총선에서 마셜이 이끄는 국민당은 노먼 커크가 이끄는 노동당에 패배했다. 마셜이 총리직에 오른 지 1년도 되지 않은 1972년 12월 8일, 커크가 새로운 총리로 취임했고 마셜은 야당 대표가 되었다.[2]
4. 4. 야당 대표 (1972-1974)
마셜은 1972년 선거 패배 후 뉴질랜드 야당 대표가 되었다. 그는 당의 단결을 도모하기 위해 그림자 내각을 나머지 의원총회와 분리하지 않는 방식을 택했다. 또한 국민당의 경험과 안정을 강조하고자 1972년 2월부터 자신의 포트폴리오 배분에 최소한의 변화만을 주었는데, 이는 당시 새롭게 집권한 노동당 정부의 상대적인 경험 부족과 대비를 이루려는 의도였다.그러나 1974년 7월 4일, 마셜은 대표직 도전이 임박했다는 통보를 받았다. 자신의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음을 인지한 그는 대표직에서 사임했고, 로버트 멀둔이 후임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마셜의 리더십 교체는 당시 매우 높은 인기를 누리던 노동당의 노먼 커크 총리에게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마셜의 조용하고 절제된 스타일은 정부 복귀를 위해 보다 공격적인 전술을 원했던 야당의 요구와는 거리가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커크는 그해 말 사망했고, 그의 뒤를 이은 빌 롤링 총리 역시 마셜과 유사하게 조용하고 비대립적인 지도자로 평가받았다.[3]
대표직에서 물러난 후 마셜은 해외 무역 담당 그림자 장관으로 활동했다.[8] 그는 1975년 총선을 마지막으로 의회에서 은퇴하며 정계를 떠났다.
5. 정계 은퇴 이후
그는 뉴질랜드 국민당 조직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오랜 기간의 공헌으로 존경받았다. 마셜은 처음에는 후임자들의 활동에 대해 말을 아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멀둔의 공격적인 성향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했다. 모일 사건 당시, 노동당 하원 의원 콜린 모일이 동성애 행위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은 사건과 관련하여 멀둔이 보인 행동에 대해 마셜은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나는 이런 종류의 행위를 하는 사람은 스스로에게 해를 끼치고 의회의 위상을 떨어뜨린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비판했다.[9]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멀둔이 지나치게 공격적이고 통제적이라고 비난하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특히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시행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럭비 유니온 팀의 뉴질랜드 방문(남아프리카 공화국의 1981년 럭비 유니온 뉴질랜드 및 미국 투어)을 멀둔이 허용한 결정은 마셜을 더욱 분노하게 만들었다.[2] 그는 두 권으로 된 회고록에서 멀둔과 1974년 당 대표 경선 당시 상황을 솔직하게 묘사했다.[3]
마셜은 회고록 외에도 법률 서적을 저술했으며, Dr Duffer|닥터 더퍼eng라는 캐릭터가 등장하는 여러 권의 어린이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3] 그는 젊은 법학도 시절부터 이야기를 썼지만, 첫 책은 1978년에야 출판되었다. 이 책은 큰 인기를 얻어 초판이 일주일 만에 매진되었고 수천 권이 추가 주문되기도 했다.[10] 그는 뉴질랜드 체스 협회를 비롯한 여러 자선 단체 및 문화 단체에서 활동했으며,[11] 뉴질랜드 초상화 갤러리의 창립 멤버이기도 했다.[12][7]
말년의 활동 중 상당 부분은 그의 깊은 기독교 신앙과 관련이 있었다. 마셜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리는 연합성서공회 세계 회의에 연설자로 참석하러 가던 중, 1988년 8월 30일 영국 서퍽주 스네이프에서 사망했다. 유족으로는 아내와 네 자녀가 있다.[2]
6. 서훈
1953년, 마셜은 엘리자베스 2세 대관식 기념 메달을 받았다.[13]
1973년 신년 훈장에서, 마셜은 뉴질랜드 총리로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명예 훈장 회원으로 임명되었다.[14]
1974년 특별 훈장에서는 기사 작위인 대영 제국 훈장의 사령관으로 서임되었다.[15]
1977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 실버 쥬빌리 메달을 받았다.[13]
7.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46년 뉴질랜드 총선 | 하원의원 (빅토리아 마운트 선거구) | 28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3.09% | 6,520표 | 1위 | ![]() |
1949년 뉴질랜드 총선 | 하원의원 (빅토리아 마운트 선거구) | 29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8.44% | 6,562표 | 1위 | |
1951년 뉴질랜드 총선 | 하원의원 (빅토리아 마운트 선거구) | 30대 | 뉴질랜드 국민당 | 60.06% | 6,556표 | 1위 | |
1954년 뉴질랜드 총선 | 하원의원 (카오리 선거구) | 31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3.30% | 8,317표 | 1위 | |
1957년 뉴질랜드 총선 | 하원의원 (카오리 선거구) | 32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7.35% | 9,481표 | 1위 | |
1960년 뉴질랜드 총선 | 하원의원 (카오리 선거구) | 33대 | 뉴질랜드 국민당 | 61.99% | 9,841표 | 1위 | |
1963년 뉴질랜드 총선 | 하원의원 (카오리 선거구) | 34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9.67% | 10,312표 | 1위 | |
1966년 뉴질랜드 총선 | 하원의원 (카오리 선거구) | 35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9.40% | 10,961표 | 1위 | |
1969년 뉴질랜드 총선 | 하원의원 (카오리 선거구) | 36대 | 뉴질랜드 국민당 | 65.65% | 11,320표 | 1위 | |
1972년 뉴질랜드 총선 | 하원의원 (카오리 선거구) | 37대 | 뉴질랜드 국민당 | 55.80% | 9,825표 | 1위 |
참조
[1]
간행물
New Zealand Army Orders 1952/405
[2]
DNZB
Marshall, John Ross
2013-08-27
[3]
뉴스
Gentleman Jack held in respect
1988-09-04
[4]
웹사이트
NZ behind UN resolution to abolish death penalty
https://www.beehive.[...]
New Zealand Government
2007-10-11
[5]
서적
New Zealand Politics in Action: the 1960 General Elec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Capital punishment in New Zealand – The death penalty
https://nzhistory.go[...]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4-08-05
[7]
웹사이트
John Marshall
https://nzhistory.go[...]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7-11-08
[8]
뉴스
National lists "alternative Government"
1974-07-11
[9]
방송
1994
[10]
뉴스
Sir John's Tales Sell Out
1978-12-07
[11]
웹사이트
NZ Federation
http://www.poisonpaw[...]
NZ Federation
2012-12-01
[12]
웹사이트
About New Zealand Portrait Gallery
https://www.nzportra[...]
New Zealand Portrait Gallery
[13]
서적
Honoured by the Queen – New Zealand
New Zealand Who's Who Aotearoa
[14]
간행물
1972-12-29
[15]
간행물
1974-10-04
[16]
간행물
1992-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